'퀀트킹'에서 제공하는 수익성 지표들을 살펴볼거에요
오늘은 그 중 NPM 지표를 활용한 전략을 소개해 드릴께요
NPM은 Net Profit Margin으로 당기순이익율을 뜻하고 있어요
당기순이익율은 벨류지표에서 살펴본 당기순이익 / 매출액을 한 금액이에요 즉, 매출액 중 당기순이익이 얼마나 차지하냐를 나타낸 수치에요
(이전글인 OPM은 영업이익 / 매출액으로 나타내고, NPM은 영업이익 대신 당기순이익이 들어간 것이에요)
그렇다면, 같은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이 더 큰 기업이 수익율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높은NPM이 수익률이 높을것이다)
그런데.... 과거 OPM 사례를 보면.... ㅠㅠ
그렇다면 바로 해당 생각이 맞는지를 검증을 해볼까요?
오늘도 사용되는 '퀀트킹'프로그램

수익성 지표 중 NPM 선택하고 낮은 순위와 높은 순위로 백테스트를 돌려 성과를 비교해볼것이에요
(스팩, 지주자, 해외본사를 제외한 결과가 더 좋음을 알았으니 바로 제외)
NPM이 낮은 순으로 돌린 결과 (10년, 분기별 리벨런싱, 20종목 결과)
NPM이 높은 순으로 돌린 결과 (10년, 분기별 리벨런싱, 20종목 결과)
고NPM전략이 연복리 13.9%, 저NPM전략은 연복리 12.3%
오 이번에는 예상과 같은 결과가 나왔어요
게다가 수익율 또한 GPM과 OPM보다 높은 수치가 나왔어요!
그렇다면 소형주에서는 어떠한 결과를 보여줄까요?
시가총액 하위 30%, 분기순이익 0이상 필터 적용
NPM이 낮은 순으로 돌린 결과 (10년, 분기별 리벨런싱, 20종목 결과)
NPM이 높은 순으로 돌린 결과 (10년, 분기별 리벨런싱, 20종목 결과)
소형주 고NPM전략이 연복리 33.7%, 저NPM전략은 연복리 32.2%
일반 고NPM전략이 연복리 13.9%, 저NPM전략은 연복리 12.3%
소형주 효과도 확실히 발생하였어요 둘다 30%가 넘는 모습..
원래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당기순이익보다 훼손하기 어려워 조금 더 순수한 데이터라고 생각하여 당기순이익과 관련된 지표보다 매출액이나 영업이익에 관련된 지표가 더 퀀트적으로 우수할 줄 알았지만...
역시 결국은 기업이 얼마나 남기냐(당기순이익)가 핵심인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경제적 자유에 도달하기에 한걸음 걸었으니 그만큼은 가까워졌다고 생각해요
물론 글을 보는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실천으로 옮기는 것이 중요한 것을 잊지 말아주세요!
'퀀트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문) 수익성지표를 활용한 개별주 퀀트 전략 - 8 (ROE 연복리 6.6% 전략) (0) | 2022.09.28 |
---|---|
(입문) 수익성지표를 활용한 개별주 퀀트 전략 - 7 (분기NPM 연복리 13% 전략) (0) | 2022.09.27 |
(입문) 수익성지표를 활용한 개별주 퀀트 전략 - 5 (분기OPM 연복리 13.4% 전략) (2) | 2022.09.24 |
(입문) 수익성지표를 활용한 개별주 퀀트 전략 - 4 (OPM 연복리 9.3% 전략) (2) | 2022.09.22 |
(입문) 수익성지표를 활용한 개별주 퀀트 전략 - 3 (분기GPM 연복리 3.7% 전략) (2) | 2022.09.22 |